전체15 교토 아라비카(%) 커피 리뷰(Feat. 콜롬비아 커피 후기) 교토 아라비카/% 커피 리뷰 일본에는 "스페셜티" 커피 전문점들이 정말 많다. 그 중에서도 한국에서 응커피라고도 많이 알려진, 아라비카 커피(% ARABICA)를 원격으로 접할 수 있었다. (일본 여행중인 동생의 도움으로..ㅎㅎ) 아라비카 커피는 커피칼럼리스트인 심재범작가님의 "교토커피" 를 통해 알게 되었다. 이 책 한권이면 일본 교토의 엄선된 카페투어는 200% 문제 없을듯 싶다. 감사하게도 동생의 원격 지원으로 아라비카 커피를 경험할 수 있었다. 정말 궁금했던 에티오피아 커피는 모두 솔드아웃.. 가격표에는 그람수와 가격뿐만 아니라 Bean name과 가공방식(Process), 품종과 Tasting Notes까지 제공하고있다. 그리고 로스트 레벨(2-6단계)도 선택이 가능하다. 이 말은 주문 즉시 볶.. 2023. 7. 1. 강원도 속초 맛집 호인스시(오마카세 디너) 재방문 의사 200% 속초 오마카세 맛집 호인스시 강원도 속초 여행중 우연히 발견한 호인스시. 예약 취소건으로 운 좋게 당일 디너 1부(17시 50분)로 예약하게 되었다. 주차는 가게 앞 갓길 or 매장 건물 아래 공용주차장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 입구를 들어서자마자 정갈하고 깔끔한 느낌 좌석은 일자 다찌형태로 10 ~ 12석 정도 있는 것 같다. 준비된 네타와 손질하는 모습을 가까이 보고자 셰프님과 가까운 쪽으로 자리를 부탁드렸다. 식사를 다 마치는 데까지 약 1시간 30분이 소요된다. 지금부터 음식이 나오는 순서대로 공유해보고자 한다. 가쓰오부시 국물과 고다치즈가 곁들어진 차완무시(계란찜)로 시작. 너무 짜지도 않고 알맞게 짭조름하면서 고소하고 담백하다. 부드럽고 잘 절여진 문어조림. 식감이 매우 부.. 2023. 6. 25. 13. 카페인 과다섭취의 부작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리가 마시는 커피 안의 카페인 함량. 과연 얼마나 마셔야 적당할까? 그리고 과다섭취를 하는 경우 어떠한 부작용들이 발생할까? 이번 피드에서는 일반 성인 기준 적정한 커피 섭취량과 과다하게 섭취했을 때 우리 몸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카페인의 이해 카페인은 커피 콩 또는 찻잎류, 과라나 등 식물에 널리 존재하는 크산틴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천연 각성제의 역할을 한다. 정제된 카페인은 흰색의 결정으로 주로 커피의 쓴맛을 내는 물질이다. 카페인의 체내 흡수 속도는 위장에서 약 45분 정도면 완전히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페인의 반감기는 개인차가 있으며 연령이나, 간 기능, 개인의 신체 상태에 따라 매우 상이하지만, 건강한 성인 기준으로 약 5시간 정도 소요된다고 알.. 2023. 6. 9. 12. 디카페인 커피(Decaffeinated coffee)의 카페인 함량과 가공법 디카페인 커피(Decaffeine coffee)를 알아보기에 앞서 요즈음 현대인들이 커피를 주로 마시는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첫 번째, 아침에 커피 한 잔 또는 식후에 커피를 마시는 것이 하나의 문화이자 삶의 일부가 되었다. 두 번째, 커피가 함유한 카페인(Caffeine)을 섭취함으로써 바쁜 일상을 살아가기 위한 에너지 부스터가 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커피를 마시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특히, 최근 커피의 재배 방법과 가공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커피는 단순히 쓴맛을 내는 음료가 아닌 다채로운 맛과 향을 가진 일종의 기호품이 되었다. 그리고 커피를 좋아하지만 카페인으로 인해 밤잠을 못 이루는 사람들을 위해 카페인이 제거된 디카페인 커피가 주목받고 있다. 처음 카페인이.. 2023. 6. 3. 11. 커피의 추출 성분(수용성 성분, 지용성 성분) 11. 커피의 추출 성분 이전 글에서 커피를 분쇄하는 이유와 분쇄 품질이 커피의 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봤다. 그라인딩을 통해 커피가 가진 성분들을 물에 녹여내어 음용하는 것이 주요 목적인데, 과연 어떠한 물질들이 추출되어 복합적인 향(Fragrance, Aroma)과 맛(Taste), 질감(Texture)을 나타내는 것일까? 커피에는 다양한 용해성 물질(Soluble)과 비용해성 물질(Insoluble)이 존재한다. 이 두 물질은 커피 내에 일반적으로 각각 7:3 정도의 비율로 존재한다. 비용해성 물질은 제외하고 용해성 물질 중에서 커피의 향미 발현에 좋은 영향을 주는 물질과 그렇지 않은 물질이 존재한다. 이는 각각 약 2:1의 비율로 존재한다. 맛있는 커피 한잔이 만들어지기 까지 향미 발현에 .. 2023. 5. 29. 10. 맛있는 커피를 위한 그라인딩(Coffee grinding) 10. 커피 분쇄(Coffee grinding)의 중요성 커피의 맛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커피의 품종에서부터 재배, 가공, 로스팅, 추출 등 매우 다양한 요소가 존재한다. 이번 피드에서는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한 그라인딩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그라인딩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커피 원두를 분쇄해서 입자의 표면적을 늘리고 커피의 향미 성분을 물에 적절히 녹여내어 음용하기 위함이다. 그라인딩은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첫 단계로 다음으로 이어지는 추출 퍼포먼스와 결과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무리 좋은 커피를 사용해도 첫 단추가 잘못 채워지면 커피가 가진 본래의 향미를 온전히 구현하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에 알맞은 분쇄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보통 커피 .. 2023. 5. 28. 9. 커피 원두 보관 방법 9. 커피 원두 보관 방법이 중요한 이유? 홈바리스타, 홈카페가 유행하는 요즈음 많은 사람들이 취향대로 커피 원두를 직접 구입해서 내려 마신다. 나 또한 수많은 종류의 커피 원두를 직접 구입해서 집에서 내려 마시곤 한다. 하지만, 카페에서 마셨던 커피 맛과 집에서 내려 마시는 커피 맛이 달랐던 경험이 있었는데 그 원인이 무엇인지 항상 궁금했다. 결론적으로 겨울철 따뜻한 방바닥에 커피 원두를 방치한 것이 원인이었다. 물론 커피 맛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커피를 만드는 기술, 물 온도, 수원지와 정수필터로 인한 수질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겠지만 이번 피드에서는 "원두의 보관 방법"에 따른 커피 맛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커피 원두를 보관하는 방법이 왜 중요할까? 바로 커피를 맛있게 마시기 .. 2023. 5. 21. 8. 커피 생두 보관 방법 8. 생두의 보관 커피의 보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커피라고 하면 커피를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 어떤 것을 떠올리는지에 대한 기준이 달라진다. 로스터의 입장에서는 가장 먼저 생두를 떠올릴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커피를 좋아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원두일 것이다. 원두를 보관할 때 상황에 따라 원두 본연의 상태인 홀빈(Whole bean)으로, 가정에서 그라인딩이 어렵다면 분쇄된 가루 형태(Ground coffee)로 보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최근 커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홈로스팅에 대한 붐이 불게 되면서 생두와 원두 둘 다 다루는 커피 애호가들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가정에서도 고품질 커피를 맛보기 위해서는 생두와 원두의 보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생두는 보관 방법과 보관 환경에.. 2023. 5. 15. 7. 커피 부산물의 활용(카스카라티, Cascara Tea) 7. 카스카라티(Cascara tea)가 무엇일까? 오늘은 커피의 부산물이 특별한 음료로 탄생하게 된 커피 껍질 차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커피 껍질 차는 카스카라티(Cascara Tea) 또는 커피 체리 티(Coffee cherry tea)라고 부른다. 카스카라(Cascara)는 본래 스페인어로 ‘껍질’ 또는 ‘피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카스카라티(Cascara Tea)'는 사실 커피의 고장인 에티오피아, 예멘 등지에서 이미 수 세기 전부터 식품으로써 활용되어온 재료이다. 주로 커피를 재배하는 농부들이 질 좋은 커피 체리를 수확하여 부산물로 나오는 껍질을 말린 후 끓여 마시곤 했다고 한다. 당시에 카스카라티는 커피를 가공하고 버려지는 부산물로 구하기도 매우 쉽고 가격도 저렴했기 때문에 .. 2023. 5. 14. 이전 1 2 다음